청년도약계좌, 무직자도 가입 가능! (2025년 최신 기준 총정리)
요즘 취업 준비, 이직, 아니면 잠시 숨을 고르기 위해 쉬어가는 청년분들이 참 많죠.
이럴 때 '청년도약계좌'가 한 줄기 빛과 같은데, '직장인이 아니면 안 되겠지?' 하는 생각에 지레 포기하는 경우가 정말 많아요. 그래서 제가 오늘 그 오해를 시원하게 풀어드리겠습니다! 😊
✅ 핵심 결론: '현재 직업'이 아닌 '작년 소득'이 기준!
가장 중요한 결론부터 말씀드릴게요. 청년도약계좌는 '현재' 직업이 있느냐 없느냐를 따지지 않아요. 가장 중요한 자격 조건은 바로 국세청에 소득으로 신고된 직전 과세기간(작년)의 수입이 있느냐는 것입니다.
즉, 지금 당장 무직 상태라도, 작년에 아르바이트, 인턴, 계약직 등 어떤 형태로든 소득이 있었고 그 기록이 국세청에 남아있다면 가입 신청이 가능하다는 뜻이에요! 정말 희소식이죠?
예를 들어, 2025년에 청년도약계좌를 신청한다고 가정해 볼게요. 비록 2025년 현재는 일을 쉬고 있더라도, 2024년에 벌어들인 소득 내역이 국세청 조회를 통해 확인된다면 가입 조건을 충족하게 됩니다.

📋 청년도약계좌 가입 조건 자세히 보기
'작년 소득'이라는 핵심 기준을 알았으니, 이제 다른 조건들도 꼼꼼히 살펴봐야겠죠? 아래 표로 보기 쉽게 정리해 드릴게요.
구분 | 상세 조건 |
---|---|
나이 | 만 19세 ~ 34세 청년 (병역 이행 시 최대 6년까지 연령 계산에서 제외) |
개인 소득 | - 총급여 기준 7,500만 원 이하 - 종합소득금액 기준 6,300만 원 이하 |
가구 소득 | 가구원 수에 따른 기준 중위소득 250% 이하 |
금융 소득 | 직전 3개년도 중 1회 이상 금융소득종합과세 대상자가 아닐 것 |
안타깝지만, 작년은 물론 최근 몇 년간 국세청에 신고된 소득 기록이 전혀 없는 '완전 무직자'의 경우엔 청년도약계좌 가입이 어려워요. 이 제도는 기본적으로 일하는 청년의 자산 형성을 돕는 것이 주목적이기 때문이랍니다.
🤔 가입 후에 퇴사하면 계좌는 어떻게 되나요?
이것도 정말 많이들 걱정하시는 부분이죠.
다행히도, 청년도약계좌 가입 후에 퇴사하거나 실직해도 계좌는 그대로 유지됩니다!
강제로 해지되거나 하는 불이익은 전혀 없으니 안심하셔도 괜찮아요.
물론 소득이 없으니 납입이 부담될 수는 있지만, 다시 소득이 생기면 언제든 납입을 이어가며 만기를 채울 수 있습니다.
중간에 소득 구간이 바뀌면 정부 기여금 비율이 달라질 수는 있어도, 계좌 유지 자체에는 문제가 없다는 점 꼭 기억해 주세요!
오히려 가입 조건이 될 때(작년 소득이 있을 때) 일단 가입부터 해두는 것이 '신의 한 수'가 될 수 있어요. 나중에 소득이 아예 없어지면 가입하고 싶어도 못 할 수 있으니까요. '가입은 타이밍이다!' 라고 할 수 있겠네요.
무직자 청년도약계좌 핵심 요약
자주 묻는 질문 ❓
오늘은 청년도약계좌와 무직자 가입 조건에 대한 궁금증을 풀어봤어요.
'나는 안 될 거야'라고 미리 단정 짓지 마시고, 나의 작년 소득 기록을 꼭 확인해 보시길 바랍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