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용직 퇴직금, 조건만 알면 100% 받을 수 있습니다! (신청 방법 정리)
매일 아침 출근 도장을 찍으며 1년 넘게 성실히 일했는데, 마지막 날 "당신은 일용직이라 퇴직금이 없어요"라는 말을 들으면 얼마나 허탈할까요?
실제로 많은 분들이 일용직이라는 이유만으로 퇴직금을 당연히 못 받는다고 생각하거나, 어떻게 신청해야 할지 몰라 막막해하는 경우가 정말 많아요. 하지만 걱정 마세요!
법적으로 일용직 근로자도 엄연히 퇴직금을 받을 권리가 있답니다.
오늘 이 글 하나로 그동안 헷갈렸던 일용직 퇴직금, 제가 확실하게 정리해 드릴게요! 😊

"저도 퇴직금 받을 수 있을까요?" - 지급 조건 확인하기 🔍
가장 중요한 건 내가 퇴직금 지급 대상이 되는지 확인하는 거겠죠? '일용직'이라는 계약 형태와 상관없이, 아래 두 가지 핵심 조건을 모두 만족했다면 퇴직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
✅ 일용직 퇴직금 지급 핵심 조건 2가지
- 1년 이상 계속해서 근무했나요?
매일 근로계약을 맺는 형태라도,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계속 일할 것이라는 기대감이 형성된 상태로 1년 이상 일했다면 '계속근로'로 인정됩니다. 중간에 며칠 쉬었더라도 전체적으로 고용 관계가 유지되었다면 괜찮아요. - 1주 평균 15시간 이상 일했나요?
퇴직일 직전 4주가 아닌, 전체 근무 기간을 평균하여 1주 소정근로시간이 15시간 이상이어야 합니다.
사업주가 "4대 보험에 가입 안 시켜줘서 퇴직금 못 준다"고 말하는 경우가 있는데요, 이건 잘못된 정보입니다! 퇴직금 지급 조건은 근로기준법에 따른 것이므로, 4대 보험 가입 여부와는 전혀 상관없이 위의 두 조건만 충족하면 당당하게 요구할 수 있습니다.
내 퇴직금, 과연 얼마일까? - 계산 방법 🧮
퇴직금 지급 조건이 된다는 걸 확인했다면, 이제 가장 궁금한 '금액'을 알아볼 차례죠. 계산식이 조금 복잡해 보일 수 있지만, 차근차근 따라 해 보면 누구나 계산할 수 있어요.
📝 퇴직금 계산 공식
1일 평균임금 × 30(일) × (총 재직일수 / 365)
여기서 가장 중요한 건 '1일 평균임금'인데요, 이건 퇴사하기 직전 3개월 동안 받은 임금 총액을 그 기간의 총일수로 나눈 금액을 말해요.
👨🔧 "김철수 씨"의 퇴직금 계산 예시
- 총 재직 기간: 2024년 1월 1일 ~ 2025년 1월 31일 (총 397일)
- 퇴직 직전 3개월: 2024년 11월 1일 ~ 2025년 1월 31일 (총 92일)
- 3개월간 임금 총액: 7,500,000원
1. 1일 평균임금 계산하기
7,500,000원 (3개월 임금 총액) ÷ 92일 (3개월 총일수) = 81,521원
2. 최종 퇴직금 계산하기
81,521원 (1일 평균임금) × 30일 × (397일 / 365일) = 약 2,661,288원
퇴직금 신청, 어떻게 하나요? - 신청 절차 A to Z 📝
이제 모든 준비가 끝났습니다. 퇴직금은 퇴사 후 14일 이내에 지급하는 것이 원칙이에요. 아래 절차에 따라 진행해 보세요.
- 1단계: 사업주에게 퇴직금 지급 요청하기
가장 좋은 방법은 퇴사 시 사업주와 원만하게 이야기해서 지급받는 것입니다. 내가 퇴직금 지급 대상이라는 점과 예상 금액을 근거로 정중하게 요청하세요. - 2단계: 고용노동부에 진정 제기하기 (사업주가 거부할 경우)
만약 사업주가 지급을 거부하거나 연락을 피한다면, 망설이지 말고 고용노동부의 문을 두드려야 합니다. 이를 '임금체불 진정'이라고 해요. 가까운 고용노동지청에 직접 방문하거나, 고용노동부 민원마당 홈페이지를 통해 온라인으로도 신청할 수 있습니다.
고용노동부에 진정을 제기하기 전, 내가 그곳에서 계속 일했다는 것을 증명할 자료를 최대한 모아두는 것이 정말 중요해요.
- 필수: 급여를 받은 통장 거래 내역, 급여명세서
- 있으면 좋음: 근로계약서, 출퇴근 기록 (교통카드 내역, 앱 기록 등), 동료 근로자의 확인서, 업무 관련 문자나 카톡 대화 내용
일용직 퇴직금 핵심 체크
자주 묻는 질문 ❓
일용직 근로자의 퇴직금은 법으로 보장된 소중한 권리입니다. '좋은 게 좋은 거지'라며 묻어두기엔 당신의 땀과 노력이 너무나 소중합니다. 이 글이 당신의 정당한 권리를 찾는 데 작은 용기가 되기를 바랍니다. 😊